1. 메신저에서 SNS로의 전환

카카오톡이 출시 15년 만에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친구 탭 구조의 변경이다.
기존에는 친구 이름, 프로필 사진, 상태 메시지가 간단히 리스트 형태로 정리돼 있었다. 그러나 업데이트 이후에는 친구들의 프로필 변경 내역과 게시물이 피드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과 유사한 SNS 구조를 띠게 됐다.
이러한 카카오톡 업데이트는 일부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받아들여지지만, 대다수 카카오톡 이용자들 반응은 부정적이다. 가장 큰 이유는 메신저 기능의 상실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대화 상대를 빠르게 찾고자 하는 이용자들에게 불필요한 정보가 먼저 노출되고, 친하지 않은 지인이나 업무용 연락처의 프로필 변경 내역이 강제로 표시된다는 점이 불편함으로 이어진다.
이용자들은 “메신저는 대화가 중심이어야 하는데, 카카오톡이 SNS처럼 변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2. 숏폼 도입과 광고 확대

새롭게 추가된 숏폼(짧은 영상) 기능도 논란이 되고 있다. 카카오톡 이용자들 대부분이 이를 “메신저의 본질과 무관한 기능”으로 인식한다.
숏폼은 SNS 등 이미 여러 플랫폼에서 과포화 상태로 제공되는 콘텐츠인데, 메신저에서까지 이를 강제로 노출하는 것은 불필요한 피로감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많다.
광고 노출 방식도 변화했다. 친구 피드 중간에 광고가 동일한 크기로 섞여 나오거나, 아예 친구 목록에 광고 계정이 함께 올라오는 방식이 추가되었다.
이 때문에 광고가 노출되는 비중이 늘어난 것처럼 체감되며, “카카오톡이 상업성을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불만이 온라인상에 퍼지고 있다.
실제로 각종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는 방법’이 빠르게 공유되고 있으며, 이미 업데이트를 마친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예전 버전으로 롤백할 수 없느냐”는 아쉬움 섞인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3. 카카오 측 설명과 향후 과제

카카오 측은 이번 업데이트에 대해 “처음에는 낯설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더 자유롭고 편리한 대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 측은 사용자 편의 증진을 위한 시도라는 입장이지만, 실제 이용자들의 경험은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다.
이용자 불만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친구 탭에서 원치 않는 정보가 과도하게 노출되는 점
2) 광고 노출 비중이 지나치게 커졌다는 점
3) 숏폼과 같은기능이 메신저 목적과 맞지 않는다는 점
일부 이용자들은 “카카오가 이용자 감각과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비판을 내놓으며 대체 메신저를 찾고 싶다는 반응까지 보이고 있다.
결론
카카오톡의 15년 만의 대규모 개편은 큰 변화를 통한 서비스 확장을 목표로 했으나, 현재까지의 결과는 부정적 평가가 주를 이룬다.
특히 단순성을 중시해 온 이용자들에게는 과도한 변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광고와 숏폼 기능은 오히려 메신저 기능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앞으로 카카오톡의 서비스 본질인 ‘대화’의 가치를 회복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조화롭게 운영할 수 있을지가 향후 카카오톡의 과제로 남는다.